시각장애의 정의
시각장애인의 상당수는 명암을 구분할 수 있는 광각이 있거나 희미하게나마 색깔을 구분할 수 있거나 또는 여러 가지 정도의 잔존 시각기능을 이용하여 그것을 일상생활에 중요하고 유효하게 활용하고 있다.
시각장애를 시력장애와 혼동하는 경우도 많다. 먼 곳이나 작은 물건이 보이지 않는 시력의 장애가 곧 시각장애로 착각하는 사람이 있으나 시력장애는 시각장애의 일부에 불과하다.
의학적으로 시각장애에는 시력, 시야, 광각, 색각, 굴절, 조절, 양안시 등 모든 시각분야의 이상 현상이 포함된다. 그러나 법적으로는 시력과 시야의 이상만을 장애로 정하고 있다.
의학상 시각장애인의 분류
- 시력장애 : 시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거나 물체가 보이지 않는 장애
- 시야장애 : 보이는 범위가 좁아들어 시야의 50% 이상이 축소되었거나 터널시력이 된 장애
- 광각장애 : 낮에 보는 추상시세포와 밤에 보는 간상시세포가 손상을 받거나, 그 수가 어느 한 쪽이 선천적으로 부족하여 밝은 곳에서 잘 보이지 않거나 밤에 보이지 않는 장애
- 색각장애 : 색약이나 색맹의 상태
- 굴절장애 : 빛의 굴절에 문제가 있어 난시가 되거나, 근시, 원시 등으로 초점이 망막에 맺히지 못하는 장애. 안경으로 조절이 가능함
- 조절장애 : 수정체의 두께 조절이 잘 안 되거나, 안구를 움직이는 동안근이 잘 조절되지 못하는 장애
- 양안시장애: 한쪽 눈이 잘 보이지 않거나 시력이 현저히 낮아 입체시를 이루지 못하는 장애
사진으로 보는 시각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