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속 외면된 시각·청각 장애인들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코로나19’ 속 외면된 시각·청각 장애인들

관리자 0 4922

‘코로나19’ 속 외면된 시각·청각 장애인들



청각·시각장애인 재난 및 감염병 안전대책 촉구
“맞춤형 정보 및 전문인력 배치 필요” 강조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며 정부는 1399 콜센터 인력을 늘리는 등 다양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보건복지부 측은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의교기관을 찾기 보단 1399 콜센터나 보건소에 연락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의 완벽한 대응처럼 보였지만 이 시스템에도 허점은 존재했다. 시각·청각 장애인은 재난, 감염병 사태 발생 시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제대로 된 정부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동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 원심회, 에이블업 등 4개 장애인 인권 단체는 1399 콜센터나 의료시설 이용이 여의치 않다며 시각·청각자애인의 재난·감염병 안전대책을 촉구했다.

이들은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브리핑에서 수어 통역을 제공하고 있어 장애인들도 어느 정도는 안심하고 있다”며 “다만 질병에 노출됐을 때 누구에게 어떻게 지원을 받아야 하는지 절차를 알려주는 사람이 없다”고 토로했다.

앞서 장애인 단체는 지난해 강원도 산불이 발생했을 때 차별 진정을 했고, 방송통신위원과의 협의를 통해 장애인들에게 재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을 바꾼 바 있다. 그러나 코로나19와 관련된 방역 국면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장애인 매뉴얼 등이 미흡했다고 총평했다.

이들은 “해외에선 한국이 대응을 잘하고 있다고 하지만 칭찬이 무색하게 장애인에 대한 정부의 대처는 부족하다”며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코로나19 대응이 장애인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도록 환경을 바꿔달라”고 밝혔다.

장애인 단체는 이날 장애인이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달라며 대책도 요구했다. 이들이 전달한 진정 내용에는 △원활한 정보제공 및 재난·감염병 대응방안 마련 △수어통역 등 장애인 위한 정보제공 기준 마련 △장애인 전문 상담원 배치 및 연계 △지역 단체와 연계체계 마련 등이 포함돼 있다.

장애인 단체는 “질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아는 게 중요한데 비교적 정보접근 문제에 취약한 장애인들에겐 체계적 지원이 안 되고 있다”며 “정부는 장애인의 상황을 잘 아는 지역복지기관이나 장애인 단체와 연계해 통역사 지원 등 지역 전문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0 Comments
제목